반응형

SaaS 서비스를 위한 Kubernetes 클러스터 구성 및 관리를 위해 정리를 시작합니다.

개념을 이해하고 아키텍처를 그리는건 어렵지 않았는데 시작하려니 갑자기 멘붕이 오네요. (너무 쉬었어...)

공식 홈페이지 (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setup/) 를 참고하여 가상머신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하고

물리 장비로도 클러스터 구성하고...모니터링, 인증, 미터링 등등 

 

1. 기본 구성은 다음 토폴로지와 같이 하려고합니다.

[출처]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setup/production-environment/tools/kubeadm/ha-topology/

 

고가용성 토폴로지 선택

 

kubernetes.io

 

 

2. 사전 작업

  현재 회사망 사용이 불가하여 VirtualBox로 구성합니다.

  1) Control Plane Node (CentOS 7 Memory 3G Disk 20G) x 3 + Worker N 

  2) VirtualBox 게스트OS 간 네트워크 설정 (많이 검색되는 내용이라 생략하겠습니다.)

  3) 필요한 포트 확인

Control-plane node(s)

ProtocolDirectionPort RangePurposeUsed By

TCP Inbound 6443* Kubernetes API server All
TCP Inbound 2379-2380 etcd server client API kube-apiserver, etcd
TCP Inbound 10250 Kubelet API Self, Control plane
TCP Inbound 10251 kube-scheduler Self
TCP Inbound 10252 kube-controller-manager Self

Worker node(s)

ProtocolDirectionPort RangePurposeUsed By

TCP Inbound 10250 Kubelet API Self, Control plane
TCP Inbound 30000-32767 NodePort Services** All

[출처] https://kubernetes.io/docs/setup/production-environment/tools/kubeadm/install-kubeadm/

 

Installing kubeadm

 

kubernetes.io

 

 

반응형
Posted by kev1n
,